한자공부

절약(節約)

나의 오우아 2023. 3. 6. 05:00
728x90

오늘의 한자

節約 (절약 : 마디 절, 맺을 약)

뜻 : 아껴 씀

절약 節約에서 왜 마디 절일까요..유래가 있네요

절용(節用)과 검약(儉約 : 검소할 검, 맺을 약)의 복합어로서 우리말의 ‘아껴씀’과 같은 뜻인데요..

절용(節用)은 정약용 선생님의 목민심서에서 ‘절(節)’이란 한계를 두어 억제하는 것이며, 한계를 두어 억제하는 데에는 반드시 법식이 있어야 하는데, 이 법식이 절용(節用)의 근본이라 하였다. 라고 하네요..그럼 한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디 절節은 대나무 죽竹의 곧 즉卽이 합쳐진 형성글자 입니다.음()을 나타내는 곧 즉 먹을 것을 많이 담은 그릇 앞에 사람이 무릎 꿇고 있는 모습입니다. 대나무 죽의 마디를 나타내는 글자를 합()하여 「마디」를 뜻한다고 합니다. 나중에 대나무 패를 둘로 나누어 약속의 증거()로 한 것을 말합니다.

 

맺을 약約은 가는 실 멱 내지 사자와 구기 작勺이 합쳐진 형성글자 입니다.구기 작자는 술이나 물을 푸던 국자를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작→약’으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습니다. 맺을 약자는 실타래를 묶어 놓은 모습을 그린 자를 응용해 ‘묶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이며. 사람 간의 약속도 실타래처럼 단단히 지켜져야 한다고 까지 발전 되었습니다. 그래서 맺을 약자는 ‘묶다’라는 뜻 외에도 ‘약속하다’나 ‘맺다’라는 뜻까지 파생되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마디를 맺을 만큼 아껴쓰는 것을 절약으로 외우는게 나을 듯 하지만요..ㅎㅎㅎ

절약節約하는 정신이야 말로 저축(貯蓄 : 쌓을 저, 쌓을 축) 하는 기본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늑약(勒約)  (4) 2023.03.08
골동품 (骨董品)  (2) 2023.03.07
쾌재(快哉)  (2) 2023.03.04
참신(斬新)  (4) 2023.03.03
순애보(殉愛譜)  (2)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