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공부

숙맥 (菽麥)

나의 오우아 2023. 2. 21. 05:00
728x90

오늘의 한자
菽麥 (숙맥 : 콩 숙, 보리 맥)

뜻 :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하는 어리석고 못난 사람을 이르는 

 

숙맥하면 흔히들 바보로 생각할 정도의 순진한 사람으로 일컸기도 합니다..원래는 숙맥불변(菽麥不辨)에서 나온 말입니다.
콩과 보리를 구분을 못할 정도의 아둔한 사람으로 쓰이는 말이죠..

콩 숙菽은 아저씨 숙叔에서 초두머리 즉 풀 초 艹 합쳐진 형성글자 입니다. 하지만  2급 수준의 글자입니다...

콩 숙菽의 글자 쓰임은 강낭콩을 완두(豌豆)라고도 하지만 융숙(戎菽)이라고도 하네요..
보리 맥麥은  ‘보리’를 뜻하는 글자이며 보리는 선사 시대부터 남동아시아에서 재배되어 기원전 2,000년경에는 중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되는 작물이녀 생육 기간도 90일에 불과하여서 어찌 보면 인류가 가장 먼저 재배한 곡물 중 하나가 아닐까 한다고 합니다.  부수글자 이지만 회의 문자 입니다. (올 래(내)) + (뒤쳐져 올 치)가 합쳐진...명심하십시요..

 

글자는 다들 아시겠지만 맥주(麥酒)에 제일 많이 사용하는 단어 입니다..

밀을 소맥(小麥) , 메밀은 교맥(蕎麥) 이라고 쓰네요...저도 처음 알았네요...소맥은 소주와 맥주인줄 알았는데 ㅎㅎ

마지막으로 숙맥菽麥의 된 발음으로 변하여 쑥맥으로도 쓰이기도 한답니다..

우리모두 숙맥같은 사람이 되지 맙시다..

728x90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두(饅頭)  (2) 2023.02.23
유세차(維歲次)  (2) 2023.02.22
말소,일말(抹消,一抹)  (3) 2023.02.20
만연하다(蔓延하다)  (2) 2023.02.18
무료하다(無聊하다)  (2) 2023.02.17